Extensions (Ctrl + Shift + X)에서 Remote - WSL 를 설치합니다상단 File - Open Folder 를 누르시고, bun 패키지를 설치했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터미널에서 mkdir 명령어로 폴더/파일 생성 가능하지만, 버튼을 통해서 생성할 경우 Permission denied 문제가 발생했습니다chown -R <사용자 계정> <경로> 를 통해 권한을 부여하여 해결했습니다처음 권한 문제로 찾다가 검색했던 내용인데, 위 명령어로도 불가능하다면 이 설정 참고해주세요. Settings ( Ctrl + , )에서 wsl 검색 -> Polling 체크
환경 구축 과정에서 생략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. 댓글 남겨주시면 답글 남기도록 하겠습니다!
ca-certificates: https 사이트에 curl 명령어를 사용할 때, 오류가 나지 않기 위해
sudo su 명령어를 통해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시면, sudo를 생략하고 패키지 설치가 가능합니다
Bun 설치하기
/home/<사용자 디렉토리> 로 이동하여 curl 명령어를 실행하였습니다. (다른 폴더에서 해도 됩니다)
그리고 해당 경로(.)에 대한 폴더 권한을 사용자(tpwls8122)에게 부여하였습니다.
폴더 권한을 부여하는 이유는 VScode Extension (Remote - WSL)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할 때, (폴더, 파일 생성 시) Permission denied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.
~ 경로는 현재 접속한 계정의 홈 디렉터리입니다. ( /home/tpwls8122 )
~/.bun/bin/bun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고 하고, 아래 ~/.bashrc 파일에 아래 명령어를 추가해주면 됩니다.
ls -al 명령어를 입력하면 숨겨진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vi .bashrc 명령어를 통해 파일을 수정합니다vi 편집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방향키를 통해 커서를 이동하고 i 를 누른 뒤 입력해주세요. 두 줄의 export 명령어를 복사하셨다면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. esc 버튼을 누르고 :wq 입력하여 파일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합니다bun 명령어를 실행할 수 없습니다. 터미널 새로 열어줍니다vscode 터미널을 설치하신 분이라면 + 버튼을 통해 새로운 터미널을 실행시켜주시고, 그렇지않다면 우분투 종료 후 재실행 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